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by memo47866 2025. 10. 11.

위키 사이트 중 가장 높은 정확성과 객관성이 장점이다. 후술할 위키 시스템 특성상 자격 제한이 없는 참여자의 협동으로 수정되는 시스템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집단지성이기는 하지만 집단지성의 악영향을 극복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모든 서술에 진실성을 엄하게 요구하는 문화가 자리잡아 있다. 정보의 불분명성을 지적하는 틀이 23종류 57개 이상 있다. 단일 출처까지 꼬집는다.

특히 사진에 관해서는 굉장히 엄격한데, 나무위키는 음란물이나 욕설이 들어간 사진이 아닌 이상에야 어지간하면 운영진이 나서서 사진을 삭제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위키백과는 조금이라도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자유 라이센스가 아닌 사진은 운영진이 직접 나서서 가차없이 삭제해 버린다.

또한 대놓고 비하적인 표현이나 혐오 차별적인 표현은 거의 금지되어 있다. 디시위키 등에서는 엄근진이라고 적대하지만 이는 객관성을 높힌다. 고급스러운 디자인도 언급할 만하다. 표는 부드러운 배경색과 셀의 적당한 여백, 특히 셀 경계가 검은색인 점 덕에 외양이 시각적으로 깔끔하며, 출처를 기재하는 용도인 각주가 논문이나 도서의 참고 문헌처럼 문서 밑의 각주란을 반 씩 갈라 두 줄로 도열되어 있는 등 흡사 논문처럼 구현할 수 있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중립적 관점(NPOV)을 매우 중요시한다. 지미 웨일스는 누피디아 시절부터 위키가 백과사전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편향되지 않은(nonbias) 서술이 필수불가결하며,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서술이 신뢰할 수 있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음모론이나 비과학적인 이론은 대부분 검증 가능하고 신뢰 가능한 출처로 뒷받힘할 수 없기 때문에, NPOV를 준수하면 자연스럽게 백과사전으로서의 신뢰성이 올라가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지금의 위키백과 정책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 주제에 대해 주류 물리학 서적들은 어떻게 서술하고 있습니까? 그 주제에 대한 저명한 물리학자 다수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해당 관점에 대해, 어느 편이든, 주류 과학자 커뮤니티에서 특기할 만한 토론같은 게 있었습니까?
당신의 관점이 주류의 관점이라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출처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의 관점이 무시할 수 없는 수의 과학자들이 지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해당 관점을 지지하는 저명한 과학자들의 이름을 대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또, 문서의 내용은 특정 편을 들지 않고 해당 논란에 대해 확실히 다루어야 할 것입니다.
당신의 관점을 지지하는 이들이 극소수에 불구하다면,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또 당신이 그것을 증명할 수 있든 없든 상관없이, 그 내용은 위키백과에 실려서는 안 됩니다(일부 부차적인 문서를 제외하고서는).
지미 웨일스, 2003년 9월